단짠

급등 후 조정에서 "30분봉 120일선 매매"

siao 2024. 2. 11. 19:50
반응형

데이 트레이더들이 많이 참고하는 30분봉으로 타점을 공략하는 매매기법이다.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은 다소 텀이 긴 30분봉을 기준 삼아 하는 매매이기에

비교적 여유롭게 매수 타점을 잡을 수 있어 전업투자자가 아니어도 시도 할 수 있다.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급등 후 조정에서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을 알아보자.

 

뉴스가 발생하여 단기로 수급이 몰리는 테마주의 경우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일봉상 5일선을 깨는 등. 흔히 개미털기 과정을 거치면서 조정기간을 갖게 된다.

이 때 재료의 크기가 크거나 수급이 강하면 충분한 기간 동안 조정을 받기도 전에

다시 상승하고는 하는데 개미들이 기다리는 20일선에 닿기 전 반등 나올 때가 많다.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은 10일선 부근에서 반등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매수한다.

주가를 급하게 올리는 테마주일수록 10일선 부근에서 반등 나올 확률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 때 좀 더 세세한 타점, 빠른 매수를 위해 일봉을 쪼개서 30분봉으로 매수 타점을 잡는다.

 

*일봉 10일선은 30분봉 120일선과 같다.

 

혹자는 "일봉에서 10일선 기준으로 매매하면 되는거 아닌가?"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하나의 봉, 캔들은 마감하는 것을 기준으로 매매에 활용해야한다.

즉 30분봉 120일선을 기준으로하면 매수 타점을 여러번 잡을 수 있겠으나,

일봉 10일선 기준으로는 종가 배팅, 단 한번밖에 타점을 잡지 못하게 된다.

 

트레이더로서는 자금 회전율을 높여서 수익을 극대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차트 그림을 보고 30분봉 120일선에서의 타점이 유효한지 확인해보자.

 

 

LK-99 초전도체 테마주로 변동성이 뛰어난 신성델타테크 30분봉 차트 모습이다.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 기준인 120일선(보라색) 근방에서의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자.

 

 

조정 받다가 30분봉 120일선 기준으로 반등 나오는 것을(동그라미) 확인 할 수 있다.

 

단기 매매에서 참고하는 일봉 5일선을 무너뜨리며 공포심을 유발시키고(손절을 받는다.)

지지 확률이 높은 20일선에서의 매수를 기다리는 투자자들에게는 기회를 주지 않는다.

이 때가 바로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에서의 매수 타점을 잡는 순간이라 할 수 있다.

 

단 30분봉 120일선 근방에서 무조건 지지가 나온다 생각하고 매수하는 것은 위험하다.

단기 매매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금 답답하더라도 "확인 매매"를 지향해야한다.

급등 후 하락하던 주가가 30분봉 120일선 근방에서 하락을 멈추고 횡보하길 기다린다.

이후 더 짧은 분봉상(1,3,5분봉 등) 박스권을 만들고 상향 돌파하는걸 확인한 후 매수한다.

 

반응형

 

 

세세한 주가 움직임을 보기 위한 신성델타테크 5분봉 차트 모습이다.

30분봉 120일선 근방에서 하락이 멈춘 후 1,3,5분봉으로 박스권이 만들어지길 기다린다.

이후 박스권 상향 돌파하는 것을(동그라미) 확인하고 매수한다. 손절은 박스권 하단으로 잡는다.

 

거의 모든 기법에서 활용하는 박스권 매매는 아래 링크 내용을 참고해보자.

 

 

주식 지지 저항의 개념과 "박스권 매매"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방법의 매매기법들이 있다. 트레이더 성향에 따라 돌파매매를 하거나 눌림매매를 하는 등 매매 스타일이 다 다르고, 또 그들 마다 사용하는 보조지표, 분할 매수/매도 비중

aoaotech.tistory.com

 

이 글에 예시로 든 신성델타테크 뿐 아니라 최근 수급이 강했던 종목들을 추려서

30분봉 120일선에서의 주가 움직임을 체크하여 실전 매매에 활용해보도록 하자.

 

마치며... "30분봉 120일선 매매" 기법에서의 주의사항은

만약 매수 타점을 잡은 박스권 하단이 뚫린다면 반드시 손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테마주 성격상 조정 이후 반등이 나오지 않는다면 주포가 털고 나갔을 가능성이 크다.

아니다 싶으면 반드시 칼 같은 손절을 실행해서 내 계좌를 지켜내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