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짠

스윙에 추천하는 "120일선 돌파 매매"

siao 2024. 1. 22. 18:29
반응형

앞선 글에서 다뤘던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 기법이다.
이동평균선의 개념을 잡기위해 아래 링크를 먼저 참고해보자.
 

 

주식 이동평균선 수렴과 발산 개념

HTS, MTS 에서 차트를 열면 기본적으로 보이는 것은 세가지다. 캔들, 거래량,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바로 이동평균선인데 그만큼 가장 많은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보조지표이기도 하다.

aoaotech.tistory.com

 
실전 매매에서 꽤 높은 승률을 기대 할 수 있는 120일선 돌파 매매 기법,
분봉이 아닌 일봉 기준으로 하는 매매이기에 데이 트레이딩 보다는
느긋하게 가져가는 스윙 트레이딩에 적합한 매매 기법이라 할 수 있다.
 
5일선은 일주일, 20일선은 한달 그리고 120일선은 반년간의 평균 주가이다.
그동안 조정 받으면서 120일선 아래에 있던 주가가 120일선을 상향 돌파 한다는 것은
하방 압력 받던 주가의 추세 변경을 뜻하며, 새로운 수급이 들어오는 것을 기대 할 수 있다.
 
스윙에 적합한 120일선 돌파 매매 기법은 아래와 같다.
1. 주가가 충분한 조정 후 120일선 상향 돌파한 종목을 찾아본다.
2. 120일선 상향 돌파 후 다시 조정을 받으면서 120일선 하향 돌파하는 것을 기다린다.
3. 조정 이후 다시 120일선을 두번째 상향 돌파하는 것을 확인하고 종가에 첫 매수를 한다.
4. 전저점을 손절 기준으로 잡고 조정 때 마다 분할 매수한다.
5. 상방으로 시세 분출이 나오면 분할 매도한다.
 
120일선 돌파 매매 기법의 포인트는 120일선 돌파 할 때 바로 매수 하는 것이 아니고,
한번 기다렸다가 조정 후 재차 120일선 돌파 할 때를 첫 매수 타점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는 첫 120일선 돌파를 "매집" 관점으로 보고 이후에 가격 또는 기간 조정을 예상하기 때문이다.
*첫 매수 후 조정하는 동안에 분할 매수하여 주식 수량을 늘려가는 개념으로 매매한다.
 
아래 예시 차트 그림을 볼 때 120일선(보라색) 기준으로 주가의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보자.
 

 

 
23년 상반기에 강한 시세를 줬던 현대로템 일봉 차트 모습이다.
4월 말부터 시작된 상승 릴레이 전에 120일선(보라색)을 뚫자마자 조정을 받는다.
이후 두번째로 120일선 돌파를 성공하면서 강한 상승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20일선 돌파 매매 기법에서는 첫 매수를 종가 배팅으로 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다.
그 이유는 장중에 120일선을 돌파해도 저항맞고 윗꼬리 만들며 밀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종목 차트도 한번 살펴보자.
 

 

반응형

 

 
연초 부터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제주반도체 일봉 차트 모습이다.
상방으로 강한 시세가 나오기 전 120일선 근처에서의 움직임을 확인해보자.
 
강한 시세가 나오는 종목들은 본격적인 상승 전에 120일선을 한번 뚫어주고,
다시 하락 시키면서 120일선 저항을 맞고 떨어지는 듯한 모습을 연출시킨다.
이 때 개인들의 손절 물량을 받으면서 매집을 이어가고 이후 강한 슈팅을 만들어낸다.
 
120일선 돌파 후 눌림 그리고 재차 돌파하는 모습이 명확하지 않은 차트도 살펴보자.
 

 
최근 다시 수급이 들어오고있는 신성델타테크 일봉 차트 모습이다.
표시해둔 120일선 근처에서의 주가 움직임을 잘 기억해두길 바란다.
만약 이 종목으로 실전 매매를 했다면 매수 타이밍을 어떻게 잡을 수 있었을까?
 

 
거래량이 터지면서 120일선을 터치한 양봉(네모)을 보고 관심종목에 넣어둔다.
이후 두번째로 120일선을 돌파하는날 종가에 첫 매수를 한다.(흰색 화살표)
이후 조정 때 추가 매수하여(노란 화살표) 주식 수량을 늘리고 평단가를 낮춰놓는다.
의미있는 저항선까지 오르거나, 거래량이 터지면서 오르면 분할 매도한다.
이 매매에서 손절은 거래량이 터진 첫 양봉(네모) 전날 음봉 도지의 저점을 깨면 손절한다.
 
이렇게 매수하기 전에 시나리오를 세워놓고 매매에 임하는 습관을 들여보자.
잘 활용하면 실전에서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는 120일선 돌파 매매 기법이다.
 

반응형